소개 이 책은 1세기부터 3세기에 걸쳐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어떻게 그리스도교를 전파하고 생활했으며 가르침을 전했는지 비교적 객관적으로 서술한 개론서다. 이 책은 교회사에 관심 있는 신자들과 신학도가 교회가 생성되던 당시 상황을 오해하지 않도록 배려했다. 독자들이 저자의 자유로운 생각이나 독특한 견해에 영향 받지 말기 바란다. 책을 읽으면서, 책 속에 자세히 인용된 문헌들의 메시지에 귀 기울임이 필요하고 또 중요하다. 저자는 이 『교회사』를 "대학에 갓 들어온 학생들과 교회사에 관심 있는 신자들을 대상으로 집필하였다"고 하지만, 사실 만만한 개론서로 읽기에는 글과 생각이 좀 무겁다. 교회가 설립되고 발전하는 시대의 사상과 사건들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데 깊고도 넓은 안목을 제공하는 명저라 하는 편이 차라리 낫다.


목차 1. 시작 1. 제자들의 모임 1.1 사도행전 | 1.2 바오로와 복음서 | 1.3 역사적 사건인 부활 2. 세상에 들어감 2.1 마티아 선발 | 2.2 사도행전의 오순절 보고 3. 예루살렘 원시 공동체와 유대인 3.1 유대교 무리 | 3.2 그리스도교 무리 4.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선교 영역의 확대 2. 이방인 선교 1. 문제점과 경과 1.1 자생적 시작 | 1.2 신약성경의 논증 | 1.3 선교 이론 | 1.4 추론 2. 사도회의 2.1 경과 | 2.2 야고보의 유보 조건 3. 바오로 3.1 출신 | 3.2 개종 | 3.3 선교 활동 | 3.4 생애 말기 3. 회당에서 교회의 분리 1. 유대 민족의 운명 1.1 유대아-로마 전쟁 | 1.2 정치적·종교적 결과 | 1.3 야브네에서 새로운 규정 2. 유대계 그리스도교의 몰락 2.1 펠라로 도피 | 2.2 이단의 경향을 지닌 무리의 고립 | 2.3 엘카사이파 3. 교회와 회당의 멀어짐 3.1 신약성경의 암시 | 3.2 구약성경에 관한 논쟁 | 3.3 지속적인 멀어짐 4. 종교적 환경 1. 황제숭배 1.1 기능 | 1.2 도미티아누스 | 1.3 신약성경의 반응 2. 밀의종교 2.1 종교사적 적응 | 2.2 개별 숭배 | 2.3 비교 3. 가정과 사회 3.1 이교인의 가정 제식 | 3.2 우상숭배의 위험 | 3.3 가정의 갈등 4. 철학적 종교성 4.1 윤리적 동인 | 4.2 스토아 학파 | 4.3 철학과 계시의 갈등 5. 외적 방해 1. 국가의 박해 1.1 경과 | 1.2 평가 2. 지적 논쟁 2.1 문학적 공격 | 2.2 초기 그리스도교 호교가 6. 내적 위험 요소 1. 재림 지연과 몬타누스 운동 1.1 임박 기대와 종말 시기 계산 | 1.2 몬타누스주의 | 1.3 교회의 설명 시도 2. 계시의 역사성과 영지주의의 위협 2.1 교회사적 질서에 적응 | 2.2 영지 | 2.3 교회의 방어 7. 신학적 설명 1. 하느님과 그리스도 1.1 문제 제기 | 1.2 해결 시도 2. 교회와 교직 2.1 교회에 대한 신학적 이해 | 2.2 교직 형성과 신학적 논증 | 2.3 교회에서 봉사하는 여성들 | 2.4 공동체에 퍼진 친교 3. 성경과 전승 3.1 구전과 문서를 통한 전승 | 3.2 외경서 | 3.3 마르키온 | 3.4 성서신학 4. 참회와 죄의 용서 4.1 개종과 검증 | 4.2 세례를 받은 뒤 지은 죄의 용서 | 4.3 죄의 용서와 순교자의 전구 | 4.4 전망 8. 미사와 생활 1. 전례와 기도 1.1 성찬례와 애찬 | 1.2 평일과 축일 | 1.3 개인 기도 2. 그리스도교적 생활의 형성 2.1 생활의 역설적 변화 | 2.2 혼인과 가정 | 2.3 이웃 사랑과 사랑의 실천 9. 선교와 전파 1. 선교 1.1 기대 | 1.2 선교자 2. 전파 2.1 숫자와 비교 | 2.2 교회의 지역과 중심지


에른스트 다스만 : 글쓴이
1931년생. 교회사 학자이자 뮌스터Münster 교구 사제로 1969년부터 본Bonn 대학 고대교회사 교수로 봉직했으며, 1972년부터 2001년까지는 본의 될거 연구소F.J. Dölger-Institut in Bonn 소장직을 맡아 고대교회사 연구를 주도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콜함머Kohlhammer 출판사에서 펴낸 Augustininus - Heiliger und Kirchenlehrer(1993), Die Anfänge der Kirche in Deutsch-land(1993), Kirchengeschichte II/1,2(1996), Ambrosius von Mailand(2004) 등이 있다
하성수 : 옮긴이
가톨릭대학교를 졸업한 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영어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고대교회사/교부학 전공으로 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교부학연구회 선임연구원으로 일하면서 가톨릭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교부학을 가르치고 있다. 폴리카르푸스의 『편지와 순교록』(2000), 드롭너의 『교부학』(2001), 헤르마스의 『목자』(2002), 다스만의 『교회사 I』(2007) 등을 우리말로 옮기고, 『그리스어 문법』(2005)과 『교부학 인명·지명 용례집』(2008)을 엮어 분도출판사에서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