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너에게 보여 줄 땅으로"


성경에서 땅은 사람을 빚는 소재로, 사람의 생존 터전으로 매우 중요하다. 그 가운데서 성경은 이스라엘에게 약속된 땅에 지속적으로 초점을 맞춘다. 이스라엘의 역사는 그 땅을 차지했다가 잃고, 다시 찾았다 잃는 여정이다. 그 땅에 오신 예수님의 삶, 죽음, 부활로 그 땅의 의미와 성격이 바뀐다. 그로부터 이천 년, 그 땅은 뜨거운 분쟁지역으로 남달리 주목받고 있다.

과연 팔레스티나, 그 '약속의 땅'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수도회 사제이자 성서학자로 팔레스티나에서 살고 있는 저자들은 성경과 그리스도교의 역사에서 그 땅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오늘 가톨릭교회에서는 그 땅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꼼꼼히 살핀다. 이 책을 통해 '오늘 여기' 우리의 땅과 우리의 삶을 되돌아볼 수 있다.




차례


카를로 마리아 마르티니 추기경의 머리말


서론


제1부 땅에 대한 성경의 해석

1장 구약성경

1. 하느님의 땅 (창세 1-11장)

2. 약속의 땅 (창세 12-50장)

3. 동맹을 위한 땅 (탈출기, 신명기)

4. 증여되고 정복된 땅 (여호수아기, 마카베오기 하권)

5. 이미 차지한 땅과 아직 가야 할 땅 (욥기, 집회서)

6. 위협받는 땅, 빼앗긴 새로운 약속의 땅 (이사야서, 말라키서)

2장 신약성경

1. 연속성

2. 거부와 영성화

3. 변화

4. 결론


제2부 그리스도교의 재독서를 통해 본 땅

1장 땅의 방문

1)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그리스도인들의 예루살렘 귀환

2) 성 히에로니무스

3) 아타나시우스 : 예루살렘 순례에서 돌아온 처녀들에게 하는 충고

4)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저항

5) 다윗 성의 심장부에 있는 여자 수도원?

7) 순례와 십자군 정복

2장 제2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땅에 관한 그리스도교의 독서

1) 테르툴리아누스가 본 유다인

2) 오리게네스 : 하느님의 종 모세는 죽었다

3)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 영원히 유배당한 유다인들

4) 아우구스티누스 : 증언하기 위하여 흩어진 유다인들

5) 보쉬에, 파스칼과 유다인

3장 전도된 풍경

1. 비극들과 변화들

2. 땅의 주제와 성경 비평


제3부 현대 가톨릭교회 문헌에 나타난 땅

1. 거룩한 땅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전통적 애착

2. 성경의 해석

3. 종교 간 대화

4. 정의와 평화

5. 결론


전망 : 거룩한 땅의 어제와 오늘

1장 교회와 땅

2장 오늘을 위한 말씀


부록 1

부록 2

지도

사항 찾아보기

성경 찾아보기